1. 화면구성
Step.1화면구성
드론 화면 설정창
드론/환경 선택창
① 메뉴바: 드론 조종기 연결 속도, 제어프로그램 등 메뉴아이콘이 제공
② 사용자뷰: 드론을 조종하는 사용자의 뷰.
③ 조종기: 가상의 조종기.
④ 평면뷰: 위에서 본 뷰.
⑤ 트래킹뷰: 드론을 따라가는 뷰.
⑥ Fcvpl: 드론을 제어하는 프로그램.
② 사용자뷰: 드론을 조종하는 사용자의 뷰.
③ 조종기: 가상의 조종기.
④ 평면뷰: 위에서 본 뷰.
⑤ 트래킹뷰: 드론을 따라가는 뷰.
⑥ Fcvpl: 드론을 제어하는 프로그램.
2. 아이콘 설명
Step.2아이콘 설명
아이콘 | 설명 |
![]() |
드론/환경선택 창이로 이동한다. |
![]() |
실제 조종기와 연결하기 위한 설정창이 나타난다 |
![]() |
드론의 속도 설정창이 나타난다. |
![]() |
드론을 초기 위치로 되돌린다. |
![]() |
스크래치 방식의 프로그램을 실행 한다. |
![]() |
도움말을 열기 한다. |
![]() |
프로그램을 종료 한다. |
3. 드론 및 환경 선택
Step.3드론 및 환경 선택
드론 선택에서 첫번째 드론을 선택한다.
맵 선택에서 초원을 선택한다.
4. 키보드조종
Step.4키보드 조종
동작 버튼 | 설명 | 명령어 | 방향 버튼 | 설명 | 명령어 |
△(W) | 상승 | Throttle | ↑ | 앞으로 이동 | Pitch |
▽(S) | 하강 | ↓ | 뒤로 이동 | ||
◁(A) | 제자리 왼쪽회전 | Yaw | ← | 왼쪽 이동 | Roll |
▷(D) | 제자리 오른쪽회전 | → | 오른쪽 이동 |
5. 실제 조종기 조종
Step.5실제 조종기 조종
■ 다운로드 케이블을 이용하여 통신 보드와 PC를 연결한다.
■ 통신보드 푸쉬스위치 2~3초 누름
LED 색상- 주황색이 점멸한다.
-
■ 딥스위치 1번은 ON 시킨다.
-
■ 리셋 버튼 누름
-
■ 우측 상단 파란색 LED 점멸한다.
아두이노 실행
1바탕화면에 아두이노 실행
2[파일➜예제➜00.Rokit ➜ ConnectiRoDi] 선택→프로그램이 열린다.
3[툴 ➜ 보드 ➜ Rokit-SmartInventor-mega32_v2] 선택
오른쪽 하단에 Rokit-SmartInventor-mega32_v2 표시가 나타난다.
Rokit-SmartInventor-mega32_v2
표시가 나타남
4툴 ➜ 포트 ➜ com xx] 선택
COM 포트가 나타나며 com포트1과 com포트2가 아닌 그 외의 com포트를 연결한다.
COM [번호] 표시가 나타남
- 1.√(체크) 아이콘 클릭
컴파일 완료
- 2.→(체크) 아이콘 클릭
업로드 완료
- 3.닫기 버튼 클릭
(2개 PGM을 닫는다)
- 4.실제조종기의 딥스위치 1번은 OFF한다.
5.다운로드 완료 후 조종기 리셋 버튼 누른다. - 6.조종기 연결을 선택한다.
7.포트선택에서 comX를 선택한다.
8.연결 버튼을 클릭한다.
6. 프로그래밍
Step.6프로그래밍
오른쪽 위에 Fcvpl 실행을 클릭한다.
함수블록 누른 채 원하는 순서에 드래그 & 드랍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작성 할 수 있다.
함수명 | 설명 |
SETUP | 아두이노 프로그램에서 한번만 실행하는 구문 |
LOOP | 아두이노 프로그램에서 반복 실행하는 구문 |
DELAY | 다음 함수가 실행될 때까지 시간 지연 |
THROTTLE | 드론의 상승과 하강 제어(-100~+100) |
YAW | 드론의 좌회전과 우회전 제어(-100~+100) |
PITCH | 드론의 전진과 후진 제어(-100~+100) |
ROLL | 드론의 좌이동과 우이동 제어(-100~+100) |
TakeOff | 이륙 명령어 |
Landing | 착륙 명령어 |
Control | 모션 명령어 전달 |
Stop | 정지 명령어 |
End | 구문 완료 |
IF | 조건문(성립하면 아래 동작 실행, 성립하지 않으면 ELSE 이동) |
ELSE IF | 조건문(만약에 IF문에서 조건이 성립하지 않으면 실행) |
ELSE | 조건문(IF문에서 성립하지 않으면 실행) |
While | 동작을 무한히 반복 |
FOR | 설정한 변수만큼 반복 |
깃발 모양을 누르면 작성한 프로그램으로 가상의 드론이 동작한다.
정지 버튼을 누르면 초기 상태로 되돌아 간다.
7. 아두이노
Step.7아두이노
Fcvpl에서 메뉴바>파일>아두이노 파일 생성을 선택한다.

저장할 때는 반드시 영문으로 저장하도록 한다.

저장한 위치에 있는 .ino ‘파일을 더블 클릭한다.

■ 다운로드 케이블을 이용하여 통신 보드와 PC를 연결한다.
■ 통신보드 푸쉬스위치 2~3초 누름
LED 색상- 주황색이 점멸한다.
-
1딥스위치 1번은 ON 시킨다.
-
2리셋 버튼 누른다.
-
우측 상단 파란색 LED 점멸한다.
3[툴 ➜ 보드 ➜ Rokit-SmartInventor-mega32_v2] 선택
오른쪽 하단에 Rokit-SmartInventor-mega32_v2 표시가 나타난다.
Rokit-SmartInventor-mega32_v2
표시가 나타남
4툴 ➜ 포트 ➜ com xx] 선택
COM 포트가 나타나며 com포트1과 com포트2가 아닌 그 외의 com포트를 연결한다.
COM [번호] 표시가 나타남
- 1.√(체크) 아이콘 클릭
컴파일 완료
- 2.→(체크) 아이콘 클릭
업로드 완료
- 3.닫기 버튼 클릭
(2개 PGM을 닫는다)
- 4.실제조종기의 딥스위치 1번은 OFF한다.
5.다운로드 완료 후 조종기 리셋 버튼 누른다.
6.실제 드론이 프로그램과 같이 동작 된다.
8. 초기화
Step.8초기화
-
1 V-ECOD를 종료 한다.
-
2 조종기와 PC간에 케이블을 연결한다.
-
3바탕화면에 아두이노 실행한다.
-
4아두이노 메뉴바에서
파일 → 예제 → 00_Rokit → CoDrone → Control → EX07_Controller_Flight 선택한다.
5[툴 ➜ 보드 ➜ Rokit-SmartInventor-mega32_v2] 선택
오른쪽 하단에 Rokit-SmartInventor-mega32_v2 표시가 나타난다.
Rokit-SmartInventor-mega32_v2
표시가 나타남
6[툴 ➜ 포트 ➜ com xx] 선택
COM 포트가 나타나며 com포트1과 com포트2가 아닌 그 외의 com포트를 연결한다.
COM [번호] 표시가 나타남
조종기와 pc간에 케이블 연결이 되어있는지 확인한다.
통신보드 황색LED 점등 확인한다.
-
7딥 스위치 1번을 ON시킨다.
-
8리셋 버튼 누른다.
-
(우측 상단 파란색 LED 점멸한다.)
-
9 아두이노 프로그램에서 업로드 버튼을 누른다.
(업로드 완료 확인한다.)10 딥 스위치 1번을 OFF한다.
11 리셋 버튼 누른다.
(케이블을 제거 한다.)